기사,게시판

밴조선-하버드대 세계번역대회 우승작 <사랑은 꽃몸살> 시화전에서 만난다

천마리학 2016. 7. 17. 00:09





하버드대 세계번역대회 우승작 <사랑은 꽃몸살> 시화전에서 만난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6-07-15 11:33

            

문용준 기자의 차 한 잔 합시다 54_권천학 시인, 이청초 화백
   
한인문화협회 후원 오는 8월 14일까지, “여백 채워줄 당신의 생각은…”



“포트무디 아트센터”는 트라이시티 세인트존슨가(St. Johns St.)에 서 있는, 소박하면서도 넉넉한 느낌의 화랑이다. 오는 8월 14일 안으로 이곳에 들러야 할 이유가 생겼다. <사랑은 꽃몸살>이라는 이름의 시화전을 놓칠 수 없어서다. 결론부터 꺼내자면 시(詩)나 그림에 연애 걸 마음이 전혀 없는 혹은 없던 사람에게도 이번 전시회는 두고두고 기억할만한 소품이 되기에 충분하다. 시인은 한국과 캐나다를 오가며 활동 중인 권천학씨, 그림은 향토 화가로 널리 알려진 이청초씨가 그렸다. 
  




이번 작품전은 밴쿠버한인문화협회(회장 석필원)의 후원으로 마련됐다. 협회 측은 “매년 선보여 온 한인문화의 날이라는 중량감 있는 축제 이외에도, 자그마한 문화 행사를 연중 이어갈 필요성이 느껴졌다”며 “그 결과 권천학 시인과 이청초 화백의 시화전을 후원하게 됐다”고 전했다.



“세상의 언어는 시가 되고 그림이 되었다”

시인과 화가가 서로를 알게 된 건 지난 2000년대 초반의 일이다. 당시 이 화백은 “권 시인의 작품을 읽고 난 후의 느낌을 화폭에 옮긴 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림으로 표현된 또 다른 세계에 시인은 마음을 열었고, 그때부터 두 사람 사이에서는 언제 한번 함께 작업해 보자, 는 얘기가 오가게 됐다. 그 결실은 우선 시화집의 모습으로 세상에 나왔다. 시인의 말이다.

“2008년 미국 하버드대가 주최한 세계번역대회에서 제 시가 우승작으로 선정된 적이 있더랬어요. 그때의 시 열일곱 편이 시집 <사랑은 꽃몸살, Love is the Pain of Feverish Flowers>로 엮여졌는데, 각 시마다 이청초 화백의 그림이 담겨져 있습니다.”

올 봄 선보인 시화집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은 좋다. 인터넷쇼핑몰 아마존닷컴에서도 판매가 시작됐고, 현재 재판 인쇄에 들어간 상태다. 시인은 수줍게 응원을 부탁했다.

“개인적인 문학 목표는 영어권 사회에 제 시를 알리는 겁니다. 그 첫 결과가 바로 <사랑은 꽃몸살>이었죠. 출판가에서 제 시집을 좋게 봐주시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 또한 잘 알고 있지요.”

시와 그림의 만남은 예술계에서는 꽤 익숙한 풍경이다. 특히 1980년대와 90년대의 대학가에서는 시화전이 마치 하나의 습관처럼 열리곤 했었다. 화가 역시 시인과의 작업이 전혀 어색하지 않다.

“주변에 글 쓰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문인들과 지속적인 만남을 가지면서 저 역시 글을 좋아하게 됐고,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시화전에 참여하게 된 것 같습니다.”

화가는 권 시인의 작품을 한마디로 묘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시인의 마음을 속속들이 들여다볼 수 있다는 건 애초에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시를 읽다 보면, 어떤 장면 같은 게 하나 떠올라요. 그걸 그림으로 그려내는 게 제 일인 셈이죠.”

굳이 분류하자면 이청초 화백은 친절함과는 거리가 먼 쪽이다. 그의 그림은 이것저것 설명하지 않는다. 시의 메시지를 죄다 털어놓을 경우 그림은 조잡해질 수밖에 없다는 게 화가의 생각이다.

“그러다 보니 제 그림엔 여백이 많습니다. 어떨 때는 너무 단순해 보이기도 해서 이것도 그림인가, 라는 얘기를 듣기도 했어요. 하지만 여백이 많은 만큼 보는 사람의 생각 거리도 많아지겠지요. 다시 말해 작품에 대한 독자의 상상력을 끌어내는 것, 이게 저 같은 작가에게 주어진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시인의 눈엔 여백은 시 세계에서도 중요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어떤 시에서 나는 너를 사랑해, 라는 말이 나온다고 쳐요. 저는 이것이 오로지 나는 너를 사랑해,라는 의미로만 읽혀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에요. 다른 의미, 다양하게 해석되어야 한다는 거죠. 그런 면에서 시에서도 여백이란 게 필요한 거겠죠.”

이번 시화전에서도 시인과 화가는 관람객들의 뜻밖의 해석을 기다릴 것이다. 다른 시각이 예술이라는 나무를 키우는 자양분이기 때문이다. 

“어린아이에게는 제 시가 동시처럼,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연애시처럼 느껴질 수 있겠지요. 그들의 느낌에 앞서 작품에 대해 미리 결론을 내리는 건 피하려고 합니다.”

이번 시화전은 다소 민감한 문제도 건드린다. 그것은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얘기다. 이곳 밴쿠버에서 슬픈 과거사를 꺼낼 이유가 있냐고 누군가 물었다. 시인의 답이다.

“일본 사람들을 응징하거나 복수하기 위해 위안부 문제를 들쳐내려는 게 아니에요. 인류의 평화와 공존이 우리 시대의 화두가 되어야 된다는 게 제 생각이고, 그런 의미에서 위안부에 대한 이야기를 시로 썼던 거죠.”

평화를 갈구하는 시인과 그 시인의 마음을 그림으로 표현한 화가. 두 사람의 공동 작업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오는 8월 14일까지 “포트무디 아트센터”(2425 St. Johns St. Port Moody)에서 엿볼 수 있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시회전 첫날인 7월 14일, 많은 사람들이 포트무디 아트센터를 찾았다. 이날 이청초 화백은 권천학 시인의 한복 치마 위에 그림을 그리는 퍼포먼스를 보여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