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게시판

여기 한국사람 있소-영문과 한글원문

천마리학 2009. 8. 10. 07:43

   

 There is Koreans in the Classroom!

Kwon, Chun Hak

 

Last April, after going through the whole immigration process, I settled down in Toronto. As I became an immigrant later in my life, I notice differences between cities in Korea and cities in Canada. To me, even the people I meet in streets seem different. I was left alone in these two different cultures. But, as an immigrant, I must accept my fate as an immigrant. For daily communication with outside world, I need the language: English. I must overcome my language barrier in order to settle in this unfamiliar place.

Starting from last June, I decided to take free ESL course for newcomers at St. Stephan house near Kensington market. I was placed in level 2 class. I was the only Korean in my classroom and Chinese immigrants filled the entire classroom. Being the only Korean person (1% Korean, 99% Chinese) and experiencing glass ceiling in the classroom, I learned a lesson that I have not thought before. I realized the importance of raising my voice as a Korean person in my school.

The school was filled with not only with Chinese students and office staffs, but the teachers were also Chinese, with two exceptions. The school was run by, and for Chinese people with Chinese mandates. I had problems communicating with classmates because of their Chinese accent. Maybe I had these problems because I had been placed in lower level class.

Chinese dominated English in this school. I heard Chinese in the hall, in class, during break times, and even during class. I was sometimes interrupted by chatting in Chinese during the class. I thought this was because school was the place where students meet and communicate; however, I still felt uncomfortable about the over domination of Chinese people in school. I tried my best not to be left behind socially; inside, I also tried to maintain my dignity and identity as Korean.

One day, an office staff came to the classroom and started to speak in Chinese without hesitation. At that moment, I found something boiling in my heart. I raised my hand and requested with my poor English, “There are Koreans in this classroom and indeed, I am Korean. You need to speak in English, not Chinese. Or you need to speak in Korean after speaking in Chinese. I could not understand the message you want me to hear.”

He apologized and started to speak in English again. Similar incidents have repeated several times. Although I know I was receiving uncomfortable glances from my classmates, I could not stop raising my opinion about the Chinese announcements in school. Although I was the only Korean student, I was in school and I am Korean. I cannot be Chinese. I once had an opportunity to go a field trip in school, and the teacher from a different class joined our class’ bus. This Chinese teacher briefly looked around a bus, and started to explain the schedule in Chinese. I raised my hand again. I requested that the announcement be made in English, or to speak in Korean after speaking in Chinese. He apologized and started to speak in English.

Many Chinese students got used to my behaviour. When I speak my opinion, it sets the classroom in a roar; on the other hand, I realized some students take offensive with my stand‐out behaviour, but I did not stop. In order to be treated equally and fairly, I have to go through these embarrassing moments. Because of my actions, the office staff became friendlier to me.

Now when the office staff persons come to the classroom to give a public message, they first address me. They say they would speak in English first, and then speak Chinese version of the message. one day, the manager came to me and gave me information about Korean Senior club just for me. He said I would get support from the club. I gracefully thanked the manager about the message, but in fact, I was fully delighted to be informed. I was happy that the school started to take minority groups’ matters into consideration. When I heard the information about Senior Club, I was encouraged that my little action can bring a significant result to the administrators,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school.

According to a staff person at the club, many Koreans do not raise their voice but instead they only receive what is provided to them. These passive actions could lead to undervaluing Korean dignity and existence. In other words, other ethnic groups start to replace programs and jobs that are initially designed for Koreans. This vicious cycle finally leads to reduce jobs and benefits for Koreans. As a result, we need to raise our voice as Koreans and raise our consciousness about Koreans and Korean heritage.

Through my experiences with ESL language class, I learn how important it is to raise my voice as a Korean person and to maintain my Korean identity.

 

 

여기 한국사람 있소!

 

권 천 학(시인)

 

 

지난 4월, 랜딩 이미그랜트 절차를 마치고 영주권을 얻어 토론토에 살기 시작했다.

늦게 시작한 이민생활, 도시의 분위기가 다르고, 거리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모습마저 다르다. 문화도 다르고 아는 사람도 없다. 그러나 그 모든 것들과 소통해야하는 것이 이민자에게 주어진 현실이다. 소통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이 말, 영어였다. 낯설고 물설은 땅에서 시작된 새로운 생활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영어의 벽을 뛰어넘어야 했다.

지난 6월, 정부에서 이민자들을 위해서 실시하는 무료 교육인 ESL을 선택했다. 켄싱턴 마켓 근처에 있는 세인트 스테판 하우스에 있는 영어교실에서 레벨 2에서부터 시작했다.

영어교실은 온통 중국인들이었고 한국인은 딱 나 한 사람이었다. 99%의 중국인과 1%의 한국인, 보이지 않는 은근한 대립을 느끼며 물 위에 기름 뜨듯, 그렇게 영어공부를 하면서 뜻밖의 일을 경험했다. 그것은 한국인으로서의 목소리.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학생들만이 아니라 사무실 직원도 중국인, 선생님들도 두 명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중국인이었다. 그러다보니 모든 일들이 중국인 위주로 굴러갔다. 낮은 수준의 영어 크라스여선지 몰라도 중국인들의 영어발음을 도통 알아들을 수 없어 클라스 메이트들과의 소통도 전혀 되지 않았다. 영어배우는 곳에서 중국어가 판을 쳤다. 복도에서건 교실에서건, 또 쉬는 시간은 물론 심지어 수업시간에도 중국인들끼리 주고받는 잡담으로 방해가 되기도 했다. 많은 사람들이 모이다보니 어쩔 수없는 현상이라고 이해하면서도 달갑지 않을 때가 많았다. 그런 속에서 친구가 없이 홀로인 나 자신이 왕따가 되지 않기 위해서 노력했다. 물론 속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품위를 유지해가며 은근히 자존심 경쟁을 했다.

그런 어느 날, 전달사항을 전하기 위해서 사무실 직원이 교실에 들어오더니 중국어로 말하기 시작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속에 뭔가가 꿈틀했다.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 손을 들었다. 그리고 서툰 영어로 말했다.

“여기 한국사람이 있습니다. 나는 한국 사람입니다. 전달사항을 영어로 말해 주십시오. 아니면 중국말이 끝난 다음에 한국말로도 해 주십시오”

사무실 직원은 ‘미안하다’고 하면서 중국어를 멈추고 영어로 말하기 시작했다. 그 후로 그런 일이 반복되었다. 그렇게 나는 미운오리 새끼가 되어갔지만 나의 의견을 멈출 수는 없었다. 단 한 명이지만 분명히 나는 거기에 있고 그리고 또 한국인이기 때문이다. 한번은 학교에서 견학을 가는데 버스 안에서 다른 반 선생님이 올라왔다. 중국인인 그 역시 버스 안을 둘러보면서 중국말로 그날의 행선지에 대한 설명을 하기 시작했다. 나는 또 손을 들었다. 그리고는 영어로 말해 달라, 그렇지 않으면 중국말이 끝난 다음에 한국말로도 해달라고 요청했다. 그가 또 미안하다고 하며 영어로 고쳐 말하기 시작했다.

나의 그런 행동이 중국인 학생들 사이에서는 익숙한 일이 되어갔다. 내가 그렇게 나의 의견을 말할 때마다 주변이 웃음바다가 되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론 나의 도드라진 행동을 고깝게 생각하기도 한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었다. 그러나 나는 멈추지 않았다. 숫자가 많든 적든 간에 공평하기 위해서는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내가 한국 사람임을 늘 일깨우는 나의 행동 때문에 오히려 사무실 직원들과의 사이도 더욱 친근해지기도 했다. 이제는 사무실 직원이 교실에 들어오게 되면 먼저 나에게 양해를 구하기에 이르렀다. 영어로 말한 다음 어쩔 수 없이 중국어로 말하겠다고. 그런 어느 날 메니저가 들어왔다. 나를 위해서 정보를 가지고 왔다고 하면서 한국인 시니어클럽에 대해 알려주었다. 그 모임에 나가보면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고 했다. 나는 겉으로는 고맙다고 대답하면서 속으로는 쾌재를 불렀다. 드디어 그들이 99%의 중국인과 단 1%인 한국인을 공평하게 기억하고 있고 신경 쓰게 되었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그리고 시니어 클럽을 찾았을 때 나의 그 작은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 하는 것을 더욱 깊게 깨닫게 되었다.

시니어클럽 직원의 말에 의하면 많은 한국인들이 의사표시 없이 그저 묵묵하게 지내기 때문에 한국인들의 설자리가 좁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기관이나 단체에서 대다수의 타민족사람들이 일자리는 물론 프로그램까지 선점하고 독점하고… 그 악순환의 연속으로 결국은 한국인들의 일자리도 적어지고 수혜의 범위도 좁아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목소리를 내주면 한국인들을 의식하게 되고, 한국인들을 위한 배려에 대한 인식도 높아진다는 것이었다. 움츠러들지 말고 목소리를 내달라는 당부였고 희망이었다.

이민생활의 정착의 첫 방편인 영어 배우기를 통해서 한국인의 정당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닫게 되었다.